원장대상
인권교육
보육교사대상
인권교육
아동인권선임교사대상
아동인권선임교사를
위한 안내서 활용 교육
훈육주제 집단상담
보육교직원
집단상담 및 개별상담,
심리 성격검사
구분 | 내용 | |
---|---|---|
원장대상 | 인권교육 1 | 원장의 책임과 권리를 생각해보고 영유아, 교사, 원장, 부모의 권리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토론하여 서로 권리가 존중되는 어린이집을 조성해나갈 수 있도록 권리의 의미를 되짚어 보는 내용 |
인권교육 2 | 어린이집의 상황에서 주체의 권리가 보장될 수 있는 방안 모색 | |
인권교육 3 | 영유아인권 의무이행자인 원장, 교사, 부모의 욕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로 토론하고 영유아 권리존중에 기반되어야 할 원장의 역할을 되짚어보는 내용 | |
인권교육 4 | 보육교직원 참여권 확대 및 어린이집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‘참여적 리더십’의 이해를 바탕으로 사례를 통해 토론하고 적용하는 내용으로 구성 | |
인권교육 5 | 영유아 권리 옹호자로서 원장의 역할을 더욱 잘 수행하고 어린이집 영유아의 안전하고 건강한 성장지원 및 아동학대 예방 | |
보육교사 대상 | 인권교육 1 | 유엔아동권리 협약의 일반원칙을 어린이집 현장에서의 다양한 사례와 연결하여 영유아권리에 대한 ‘민감성’ 향상 도모 |
인권교육 2 | 동화 ‘프레드릭’을 통한 인권의 의미와 ‘생존발달, 의사존중, 참여원칙’과 관련된 구체적인 영유아존중 실천사례 방안 및 교사 존중사례 나눔 | |
인권교육 3 | 인권의 원칙 중 ‘보편성’과 ‘상호 의존성’을 중심으로 어린이집과 관련된 다양한 주체의 권리존중을 다룸 | |
인권교육 4 |
|
|
인권교육 5 | 보육교사의 의미와 가치 재조명 및 아동인권 맥락에서 포괄하는 보육교사 권리 이해와 아동인권에 기반한 보육 일과 운영을 계획, 설계하고 아동인권 존중의 관점에서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 | |
아동인권 선임교사 대상 | 아동인권 선임교사 안내서 1,2,3 활용교육 |
1부. 아동인권선임교사를 위한 안내서 개요
|
훈육주제 집단상담 |
보육교직원 자신과 영유아를 이해하고 올바른 훈육을 통해 교사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집단 상담으로 두 가지 주제로 진행 1부. 나를 알고 행복하기2부. 아이와 함께 행복하기 |
02-598-9340(내선4) / 010-5080-9340 (아동학대예방사업 전용 휴대전화)